Crontab
Crontab 설정 방법
Crontab 을 설정할 수 있는 방법은 크게 1) /etc/crontab 파일 편집 방법과 2) crontab -e 명령어를 사용하는 방법으로 나뉜다. 어떤 방식으로 하느냐에 따라 약간의 문법과 실행이 달라진다.
일단 기본적인 Crontab 작업 추가 문법에 대해 알아보자.
/etc/crontab 파일을 열면 아래와 같은 문서를 확인할 수 있다.
맨 아래줄 ( 10번 라인 ) 을 보면 Crontab 을 작성하는 방법이 나와 있다.
- m : 분을 의미한다. [ 0~59 ]
- h : 시간을 의미한다. [ 0~23 ]
- dom : 날짜를 의미한다. [ 1~31 ] (day-of-month)
- mon : 월을 의미한다. [ 1~12 ] (month)
- dow : 요일을 의미한다. [ 0~6 ] (day-of-week)
- user : 실행할 파일 또는 명령어의 권한자 ( 이 부분은 /etc/crontab 파일을 수정할때만 사용 )
- command : 실행할 파일 또는 명령어 ( 실행파일의 경우 .sh 파일 이용 )
** 중요!! 이것때문에 약간 삽질했던 부분이 있어서 남김. sh 파일을 등록하여 사용할경우 sh 안에서 입력되는 모든 명령어와 경로는 절대경로로 작성해야함. 안그러면 실행이 안됨
값을 입력할 때 숫자 말고 * 을 이용하여 설정할 수 있다. * 표시는 매시간 간격을 의미한다.
( ex. m 에 * 로 설정 == 매분마다 수행, dom 에 * 로 설정 == 매일 실행 )
Example
2. 매주 일요일 오후 1시에 작업을 수행
m h dom mon dow user command
00 13 * * 6 root ls -al
변경사항 적용
Crontab -e 이용법
등록되어있는 작업 리스트를 확인하려면 crontab -l 명령어를 이용하면 된다.